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집단 상담의 계획 / 집단상담 지도자의 자질

by 밍키키

집단 상담의 계획 

 

상담자의 자기 방식과 집단 형태

 

상담자는 집단상담과 인간의 적응과 성숙에 대한 철학적 기초와 이론적 근거를 분명하게 갖고 있어야 하며 집단의 목표와 집단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들에 관해 충분히 알고 있어야 하며 실제로 이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집단 상담자는 이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받게 되고 집단원으로 집단에 참가하여 실제 경험을 쌓게 된다. 대부분의 상담자는 이런 훈련 과정을 통해 자기 나름의 상담 방식을 갖고 이는 필연적으로 특정한 이론적 지향과 방법을 가지게 된다. 일정한 전문적 한계를 갖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집단 상담자는 계획한 집단이 자기의 상담 방식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자문해 보아야 한다. 

 

  • 나는 어떤 문제들을 지닌 집단원들과 더불어 집단 상담이 가능한가?
  • 내가 훈련받은 전문 영역은 무엇인가?
  • 내가 잘 이용할 수 있는 전문적 상담 방법은 어떤 것인가?
  • 집단과정 중 어려움을 만나면 언제 누구에게 자문을 구할 것인가?

 

공동 상담자

 

최근에 두 사람이 공동으로 집단을 지도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두 사람이 협력해서 함께 집단을 지도하는 경우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집단원이 많은 경우 혼자서는 그들을 한꺼번에 관찰하고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의 메시지를 전부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이럴 때 둘이라면 한 사람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을 때 다른 한 사람은 집단 역동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경우 두 사람이 상호 작용함으로써 집단원들에게 시범적인 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두 사람이 이론적 배경이 같아야 하고 다른 면에서는 상보적이면 좋을 것이다. 하지만 공동상담자 지도 형태에서도 문제점이 없지는 않은데 만약 두 사람 사이에 협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경쟁 상태에 말려 들어가는 경우 잘못하면 집단의 유지, 발전에 지장이 초래될 것이다. 이 경우도 재빨리 자각하고 이 경험 자체를 솔직히 털어놓고 원만히 해결할 수 있다면 오히려 좋은 학습 자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지도는 단일 지도보다 폭넓고 깊은 경험을 제공하므로 집단 계획 시 고려해 볼만하다. 

 

 

 

집단의 크기, 기간, 조직성

 

  • 집단의 크기

 

상담 집단의 크기는 집단의 목표와 유형, 지도자의 경험, 내담자에게 기대하는 몰입 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집단원의 나이가 어릴수록 적은 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더의 경험 정도에 따라 다소 크게 할 수 있으나 대체로 15명을 넘어서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6~7명에서 10~12명의 수준이 보통이며 두 사람의 리더가 함께 집단을 지도할 때는 15명 정도는 무방하다. 집단의 크기가 작으면 내담자들이 상호관계나 행동의 범위가 좁아지고 각자가 받는 압력이 커지므로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반대로 집단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 내담자들의 일부는 전적으로 참여할 수 없게 되고 리더가 각 개인에게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다. 

 

  • 집단의 기간

 

집단 상담이 시작될 때는 미리 그 기간을 분명히 하고 모임의 횟수를 확실히 해두어야 한다. 그래야만 집단원들이 시간의 제약을 의식하고 활동하게 된다. 대학이나 중학교에서는 한 학기 15주간을 집단의 기간으로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신뢰감 형성과 바람직한 방향으로 행동 변화를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지만 그렇다고 질질 끌거나 싫증이 나도록 장기간을 잡는 것은 비효과적이다. 어떤 집단은 일주일에 2~5회 모이기도 하나 보통 주 1회 90분 혹은 120분 정도가 적당하다고 본다. 마라톤 집단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24시간 48시간 혹은 4박 5일이나 5박 6일을 계속적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 집단의 조직성

 

집단의 조직성 문제는 근본적으로 동질적으로 구성하느냐 이질적으로 구성하느냐의 문제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동일 집단에서는 출석률이 좋고 보다 쉽게 공감이 이루어지고 상호 간의 즉각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갈등이 적고 응집성이 빨리 발달하며 집단 소속감의 발달이 쉽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같은 집단에서는 집단원 상호 간에 피상적인 관계에서 머무르며 영속적인 행동 변화의 가능성도 낮다. 반면에 이질 집단에서는 다양한 대인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상호 간에 의미하는 자극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서로 간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이해하게 되고 현실검증의 기회도 더 풍부하게 된다. 그러므로 집단 상담자는 사전에 집단 과정을 조직적으로 구조화해서 운영할 것인가, 비구조적으로 할 것인가를 자신의 경험에 따른 선호, 구조성에 관해 가치를 두는 정도, 이론적 배경, 집단원들의 연령 등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치료의 역사  (0) 2023.02.11
독서 심리 치료  (0) 2023.02.11
집단 상담이론 / 지도자의 역할  (0) 2023.02.10
집단 상담 이론  (0) 2023.02.10
인지 치료 이론 / 벡의 우울 척도  (0) 2023.02.09

댓글

-->